/ JAVAJUNGSUK

Ch2-11. 기본형

자바의 정석 기초편

0. 목차



Chapter2. 변수

Ch2 - 11.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



Ch2 - 11.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


▶ 논리형 - boolean

▷ 값 : true와 false 중 하나
▷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


▶ 문자형 - char

▷ 값 : 문자
▷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
▷ 변수 당 여러 문자를 저장하려면 String(참조형) 사용


▶ 정수형 - int, long, byte, short

▷ 값 : 정수
▷ 정수형의 디폴트타입(주로 사용하는 타입) = int
▷ 아주 큰 정수는 long
▷ byte는 이진 데이터(이미지 파일…)를 다루는데 사용
▷ short는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 추가(활용도 낮음)


▶ 실수형 - float, double

▷ 값 : 실수
▷ float - floating point에서 저장
▷ double - float 타입의 정밀도가 2배
▷ 실수형의 디폴트타입 = double


▶ 기본형의 종류와 크기


▶ 기본형 - 표현범위 1

▷ 변수의 타입마다 표현하는 방식이 다름
▷ byte 타입을 예로 들면,
byte b;
b = 3;


▷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개수 : 2ⁿ개


▷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없는 정수(양수)의 범위 : 0 ~ 2n - 1

byte로 예를 들면
2n = 28 = 256개
양수 = 1 ~ 2ⁿ = 256개
그러나 0을 포함시켜야 함으로
0 ~ 2ⁿ - 1 = 256개
그래서 1 ~ 256 0 ~ 255 = 256개

▷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있는 정수(음/양수)의 범위 : -2n-1 ~ 2n-1 - 1


▶ 기본형 - 표현범위 2


▷ byte

-27 ~ 27 - 1

▷ short

-215 ~ 215 - 1

▷ char

0 ~ 216 - 1

▷ int

-231 ~ 231 - 1

▷ long

-263 ~ 263 - 1

  • 800경 보다 더 많은 수를 입력해야한다면?
    Bit Integer 클래스 사용

▶ 기본형 - 표현범위 3

▷ float


▷ double


  • 정밀도가 float의 2배라서 double
  • 정밀도가 2배인 만큼 정확도가 더 큼
  • 그래서 실수형의 디폴트타입이 doub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