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3-15~16. 논리 연산자
0. 목차
Chapter3. 연산자
Ch3 - 15. 논리 연산자 && || !
Ch3 - 16. 논리 부정 연산자 !
Ch3 - 15. 논리 연산자 && || !
▶ 논리 연산자 && ||란?
▷ 조건식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
▷ ||(or) : 피연산자 중 어느 하나가 true면, true!
▷ &&(and) : 피연산자 모두 true가 되면, true!
▶ 실습
▷ x는 10보다 크고, 20보다 작다
10 < x < 20
// 이런식의 표기는 허용X
논리 연산자
를 사용해야 함
①10 < x && x < 20
②x > 10 && x < 20
①, ② 중 하나로 표기
▷ x는 10보다 크고, 20보다 작다i는 2의 배수 또는, 3의 배수이다
-
2의 배수 = i ÷ 2 → 나머지 0
3의 배수 = i ÷ 3 → 나머지 0 i%2==0 || i%3==0
int i = 8; System.out.println(i%2==0 || i%3==0); // console ture
- 계산과정
i%2==0 || i%3==0
→8%2==0 || 8%3==0
→0==0 || 2==0
→true || false
→true
▷ i는 2의 배수 또는, 3의 배수지만, 6의 배수는 아니다
(i%2==0 || i%3==0) && 6%0!=0
우선순위 : || > && →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 잡아주기
▷ 문자 ch는 숫자(‘0’ ~ ‘9’)이다
'0' <= ch <= '9'
'0' <= ch && ch <= '9'
char ch = '5';
System.out.println('0' <= ch && ch <= '9');
// console
true
- 계산과정
'0' <= ch && ch <= '9'
→48 <= '5' && '5' <= 57
→48 <= 53 && 53 <= 57
→true
▷ 문자 ch는 대문자 또는 소문자이다
'a' <= ch <= 'z' || 'A' <= ch <= 'Z'
'a' <= ch && ch <= 'z' || 'A' <= ch && ch <= 'Z'
('a' <= ch && ch <= 'z') || ('A' <= ch && ch <= 'Z')
Ch3 - 16. 논리 부정 연산자 !
▶ 논리 부정 연산자란?
▷ true를 flase로, flase는 true로 바꿈
- x = ture
- !x = false
▷ 논리 부정 연산자 : 대입 연산자, 단항 연산자
- 단항 연산자의 연산방향 : ←
boolean b = true;
System.out.println(!b);
System.out.println(!!b);
// console
false
true
▷ 문자 ch는 소문자가 아니다
- 문자 ch는 소문자다
'a' <= ch <= 'z'
'a' <= ch && ch <= 'z'
- 아니다(문자 ch는 소문자다)
!('a' <= ch && ch <= 'z')